경주시, 국립공원과 도심지 연계한 생태관광도시 시동
- 지난 5일 ‘경주국립공원 정원벨트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’ 착수 - 경주국립공원 8개 지구와 지역관광 인프라 간 유기적 연계사업 발굴
미디어인경북 기자 / hawk1255@naver.co.kr 입력 : 2022년 08월 07일
【경주=미디어인경북】 김동철 기자 = 경주시가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 문화관광 정원도시 구현에 나선다.
경주시는 지난 5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‘경주국립공원 정원벨트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’ 착수보고회를 열고 국립공원과 지역 관광인프라 간 유기적 연결 발굴사업에 시동을 걸었다.
현재 남산지구, 대본지구, 단석산 지구 등 경주국립공원 8개 지구는 도심 외곽 지역에 분산되어 있다.
|
 |
|
↑↑ 경주시는 지난 5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‘경주국립공원 정원벨트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’ 착수보고회를 가졌다 / 사진제공=경주시 |
| 특히 남산지구는 많은 시민과 관광객이 찾고 있으나, 국립공원이 전역에 나누어져 있어 국립공원으로서의 인식이 부족한 현실이다.
이에 시는 국립공원 8개 지구가 거점이 되는 도시 외곽지역의 미래 발전 계획을 세워 황리단길, 월성 등 도심 중심부와 연결한 도시 전체 공간개발의 퍼즐을 완성하기 위해 이번 용역에 착수했다.
이번 용역은 △국립공원 8개 지구별 대표 이미지 브랜딩 △각 지구를 둘러싼 읍면동 맞춤형 발전 계획 발굴 △ 국립공원 지구 사이 둘레길, 정원 등을 조성해 국립공원을 유기적으로 연결 △정원 속의 도시구현 등의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게 주요 골자다.
아울러, 본격적인 용역에 앞서 단석산을 거점으로 한 서경주 지역의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킥오프(kickoff) 용역을 시행했으며, 본 용역과 연계해 도시 외곽 발전 계획에 포함될 예정이다.
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현재 각 부서에서 별도로 추진되고 있는 도시 내부 계획과 연계돼 도시 전체 생태환경, 문화관광, 지역개발의 발전전략 수립에 밑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.
김호진 부시장은 “경주 국립공원을 거점으로 하는 경주시 외곽지역의 공간적, 구조적 발전계획을 수립해 경주시의 미래발전 계획을 한층 더 두텁고 체계적으로 만들어 지속 가능한 경주 발전을 이루겠다”고 말했다.
hawk1255@naver.com |
미디어인경북 기자 / hawk1255@naver.co.kr  입력 : 2022년 08월 07일
- Copyrights ⓒ미디어인경북.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-
|
|
【경주=미디어인경북】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‘2025년
|